2023.09.1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8.0℃
  • 구름많음강릉 27.9℃
  • 구름많음서울 27.8℃
  • 구름많음대전 29.5℃
  • 구름많음대구 30.4℃
  • 구름조금울산 28.1℃
  • 구름많음광주 29.1℃
  • 구름조금부산 28.0℃
  • 구름많음고창 29.0℃
  • 구름조금제주 27.8℃
  • 구름많음강화 26.8℃
  • 구름많음보은 28.7℃
  • 구름많음금산 29.3℃
  • 맑음강진군 31.6℃
  • 구름많음경주시 30.5℃
  • 구름많음거제 28.2℃
기상청 제공

블록체인

WEB3.0의 경계를 깨다, MAPO 서울 해커톤 2023 성료

맵 프로토콜, 1,000만 달러 규모 생태계 지원 펀드 출범

 

WEB3.0 생태계 확장을 위한 맵 프로토콜의 MAPO Seoul Hackathon 2023이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전 세계 블록체인 개발자와 선도적인 WEB3.0 프로젝트가 해커톤에 참여해 ‘Break barier in WEB3.0’를 주제로 깊이 있는 의견을 공유했다. 맵 프로토콜과 워터드립 캐피털의 주최로 진행된 이번 해커톤은 WEB3.0와 블록체인 분야의 다양한 업계 리더가 참여해 열기를 더했다. 오전 세션은 개막식과 맵 프로토콜 옴니체인과 WEB3.0에 대한 주요 정보와 이슈를 공유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각자의 WEB3.0에 관한 비전을 공유했다.

 


맵 프로토콜의 공동 창업자(Co-Founder)이자 코어 개발자인 제임스(James XYC)는 해커톤 현장에서 1,000만 달러 규모(약 134억 원 상당)의 생태계 지원 펀드 출범 소식을 밝혔다.

해당 생태계 펀드는 해커톤 공동 주최자인 워터드립캐피털과 아크네그룹이 공동으로 조성하였으며 MAPO의 옴니체인의 온체인 상호운용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맵 프로토콜 관계자는 “MAPO의 한국 첫 해커톤에서 생태계 펀드 출범을 발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 에코 펀드는 옴니체인의 온체인 상호운용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혁신 가치를 보유하고 블록체인 상호운용의 미래에 기여할 수 있으며 3자 투자 기준에 부합하는 개발팀과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개발할 예정이다. 곧 공개될 프로젝트 신청에 많은 참여 바란다.”고 알렸다.

 

이번 해커톤은 2023년 5월 31일 데모데이를 진행하며 패널토론과 데모쇼, 애프터파티로 구성되어 있다. 데모데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보유한 WEB3.0 생태계의 비전을 공유하였다.

 

 

주요 해커톤 파트너사로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메타트러스트(Meta Trust), 믹스마블(Mixmarvel), 파티클 네트워크, 알리바바 클라우드, 골든트리뉴스, 서울매일, 알케미페이, 엘뱅크, 아이엘네트워크(IL), VVIB, 이플럭스 등 VC, 미디어,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참여하였다.

맵 프로토콜(MAPO)는 풀체인 상호운용 인프라로 라이트 클라이언트와 영지식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입증 가능한 보안 크로스체인 통신을 갖춘 WEB3 용 옴니체인 인프라로 알려져 있다.


골든트리뉴스 나재성 기자 | newsgoldentree@gmail.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 사이버안전센터' 이전 개소
 골든트리뉴스 관리자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 사이버안전센터”를 나주에서 세종으로 이전을 완료하고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이버안전센터는 외부로부터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365일 24시간 무중단 사이버 침해 탐지·대응, 정보체계 취약점 점검 및 사이버 침해 대응 훈련 등을 지원하는 사이버보안 최전선에 있는 전문가 조직이다.   과기정통부는 소속·산하 및 유관 79개 기관의 사이버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인 정보보호 전문 기업과 함께 과학기술, 정보통신, 우정 등 업무 특성을 반영하여 기능별로 3개 사이버안전센터를 운영 중에 있다. 이중 이번에 이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 사이버안전센터”는 3개 센터의 사령탑 역할을 하며, ‘09년부터 서울, 나주 등 본부 외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지능화·고도화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사이버안보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 사이버안전센터”의 세종 과기정통부 청사(4동) 내부로 이전을 추진했다.   이번 이전을 통해 과기정통부와 센터가 같은 건물에 위치